티스토리 뷰
목차
전기요금 부담이 가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시기입니다. 하지만 많은 분들이 전기요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청 방법을 몰라 혜택을 놓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 이 글에서는 전기요금 복지할인 신청 방법과 대상자, 할인 금액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전기요금 복지할인이란?
전기요금 복지할인은 한국전력공사에서 사회·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할인 제도입니다. 대상자에 따라 월 8천원부터 최대 2만원까지 할인받을 수 있으며, 여름철에는 추가 할인 혜택도 제공됩니다.
2025년 현재 운영 중인 특별 혜택
취약계층 부담완화 조치로 2025년 3월 31일까지 복지할인 가구의 월평균 사용량(약 313kWh)까지 전력량요금 및 기후환경요금의 조정 전 단가가 적용됩니다.
전기요금 감면 대상자 및 할인 금액
1. 장애인 및 상이유공자 (월 16,000원, 여름철 20,000원)
- 장애인복지법에 의한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
- 국가유공자등예우및지원에관한법률에 의한 1~3급 상이자
- 5.18민주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에 의한 1~3급 상이자
2. 독립유공자 (월 16,000원, 여름철 20,000원)
- 독립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에 의한 독립유공자 또는 유족 1인
3. 기초생활수급자
- 생계급여, 의료급여 수급자: 월 16,000원 (여름철 20,000원)
- 주거급여, 교육급여 수급자: 월 10,000원 (여름철 12,000원)
4. 차상위계층 (월 8,000원, 여름철 10,000원)
-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서 정한 차상위계층
- 차상위계층 확인서를 발급받은 자
5. 대가족 및 다자녀 가구 (월 30%, 최대 16,000원)
- 주민등록표상 세대원수가 5인 이상인 가구
- 자녀 3인 또는 손자 3인 이상 가구
- 출생일로부터 3년 미만인 영아가 포함된 가구
6. 생명유지장치 사용자 (월 30%)
- 호흡기장애 또는 희귀 난치성질환으로 산소발생기, 인공호흡기 등을 사용하는 가구
전기요금 감면 신청 방법
1. 온라인 신청 (가장 편리)
한전:ON 사이트 이용
- 웹사이트: online.kepco.co.kr
- 한전:ON 앱 다운로드 (안드로이드/iOS)
- 본인 인증 후 복지할인 신청 메뉴 선택
- 2023년부터 공공 마이데이터를 통해 서류 없이 간편 신청 가능
2. 방문 신청
신청 장소
- 가까운 한국전력공사 지사
- 주민센터 (행정복지센터)
필요 서류
- 전기요금 할인 신청서
- 주민등록등본
- 전기요금 영수증 사본
- 해당 증빙서류 (장애인증명서, 기초생활수급자증명서 등)
3. 전화 신청
- 고객센터: 국번없이 123
- 휴대폰에서는 지역번호 + 123
- 전화 접수 후 필요 서류를 팩스 또는 우편 제출
4. 우편/팩스 신청
- 신청서 작성 후 증빙서류와 함께 해당 한전 지사로 발송
신청 시 주의사항
- 신청 시기: 연중 상시 신청 가능하며, 신청일부터 할인 적용
- 중복 신청: 한 고객번호당 하나의 할인만 적용 가능
- 갱신: 대부분 자동 갱신되지만, 일부 대상자는 정기적인 확인 필요
- 변경사항: 할인 대상에서 제외되거나 변경사항이 있을 시 즉시 신고
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신청 후 언제부터 할인이 적용되나요?
A. 신청 접수일이 속한 달의 다음 달 요금부터 할인이 적용됩니다.
Q. 여러 할인을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?
A. 아니요. 한 고객번호당 하나의 할인만 적용 가능하며, 가장 유리한 할인이 자동 적용됩니다.
Q. 임대주택에 거주해도 신청 가능한가요?
A. 네, 전기계약자 명의와 할인 대상자가 동일하거나 가족관계증명서로 가족임을 확인할 수 있으면 신청 가능합니다.
마무리
전기요금 복지할인은 해당 대상자라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정당한 혜택입니다. 온라인 신청이 가장 간편하므로 한전:ON을 통해 신청해보시기 바랍니다. 할인 혜택을 통해 가계 부담을 줄이고, 더 나은 생활을 영위하시길 바랍니다.
관련 링크: